경제정보

학자금 대출에 대해서

bookzlenews 2025. 3. 10. 14:58
학자금 대출은 대학생이나 대학원생이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정부 또는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대출 제도입니다. 주로 한국장학재단에서 운영하는 대출이 가장 일반적입니다.

 

학자금 대출 종류 (한국장학재단 기준)

1️⃣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(든든학자금 대출)

대상: 만 35세 이하 대학(원)생 중 소득 8분위 이하
특징: 재학 중 이자 없음, 졸업 후 일정 소득(기준금액) 이상 발생 시 상환
금리: 0% (이자는 국가가 부담)
상환 방법: 연소득이 2,480만 원(2024년 기준) 이상이 되면 원리금 자동 상환

📌 추천 대상: 졸업 후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 발생할 때까지 부담 없이 대출을 유지하고 싶은 경우


2️⃣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

대상: 대학(원)생 (소득과 무관)
특징: 대출 실행 후 즉시 이자 발생, 일정 기간 동안 원리금 분할 상환
금리: 연 1.7% (2024년 1학기 기준)
상환 방법: 거치 기간(졸업 전까지 이자만 납부) + 상환 기간(원리금 분할 상환, 최장 10년 가능)

📌 추천 대상: 졸업 후 바로 일정한 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


3️⃣ 생활비 대출

대상: 학자금 대출을 받은 대학생
대출 한도: 학기당 150만 원 (연 최대 300만 원)
금리:

  •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을 받은 경우 → 이자 없음
  •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을 받은 경우 → 연 1.7% 적용

📌 추천 대상: 등록금 외에도 생활비가 부족한 경우

 


대출 신청 방법

1️⃣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접속 (www.kosaf.go.kr)
2️⃣ 학자금 대출 신청 → 본인 인증 → 신청서 작성
3️⃣ 가구원 정보 입력 (소득 심사 필요 시)
4️⃣ 대출 심사 후 승인 → 대출 실행 (등록금은 학교 계좌로 지급)

📌 신청 기간: 학기별로 일정 기간 동안 가능 (보통 12월, 78월 신청)


학자금 대출 상환 방법 & 유의사항

1️⃣ 취업 후 상환 대출은 소득이 기준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원리금 상환
2️⃣ 일반 상환 대출은 대출 실행 후 거치 기간이 끝나면 원리금 분할 상환
3️⃣ 조기 상환도 가능하며, 중도 상환 수수료 없음
4️⃣ 연체 시 신용등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


📌 학자금 대출 외에도 국가장학금, 근로장학금 등도 함께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!